인제대학교

인제대학교 대학원

통합검색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닫기
 

학과소개

교과목개요

Ctrl+F를 눌러 원하시는 과목을 찾으세요

EAA032 우수 의과학자 초청특강Ⅰ (Special lectures of distinguished medical scientistsⅠ )
EAA034 우수 의과학자 초청특강 Ⅱ (Special lectures of distinguished medical scientists Ⅱ)
EAA035 우수 의과학자 초청특강 Ⅲ (Special lectures of distinguished medical scientists Ⅲ)
EAA051 석사논문연구 (Research for the Master thesis)
EAA052 박사논문연구Ⅰ (Research for the Doctoral Thesis Ⅰ)
EAA053 박사논문연구 II (Research for the Doctoral Thesis Ⅱ)
EAB002 두경부해부학II (Anatomy fo the head and neck II)
두부의 골격계에 대한 개괄적인 지식을 먼저 습득하고 근육계에 대하여 알아본다. 경부의 골격계와 근육계에 대한 소개와 경부를 이루고 있는 소화기의 일부와 호흡기의 일부에 대한 강의도 포함된다. 두경부의 근육에 대한 신경지배를 알아보고 기능적인 관련성도 조사한다. 또한 두경부에 존재하는 특수감각기 부분에 대하여도 소개를 한다.
EAB004 체간부해부학 II (Anatomy of the trunk II)
흉강부에서는 폐와 심장을 알아보고 흉강의 큰 혈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복강부에서는 복막의 발생과 복강장기의 회전에 따른 위치변화를 알아보고 각 복강장기의 자율신경지배를 조사하여 복강장기의 질환시 통증의 기전을 알아본다. 골반강부에서는 여성배부 생식기와 비뇨기 계통의 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국소해부학적으로 수술을 위한 장기의 접근시 층별 구조와 여러 가지 장기, 혈관, 신경, 림프절의 관련성을 익혀 방사선해부학, 외과해부학 등과 정형외과, 일반외과, 흉부외과 등에서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EAB006 내장 및 내분비 해부학 II (Anatomy of the visceral and endocrice system II)
내장해부학에서는 호흡기, 소화기, 비뇨생식기의 육안해부학적인 구조를 강의하여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부속내분비계에서는 갑상선, 부신피질, 정소, 부갑상선, 랑겔한스 섬 등에 대하여 강의하고 이들을 지배하는 중추신경계의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를 알아본다. 또한 뇌하수체를 지배하는 중추신경계의 경로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런 내분비계의 해부 및 조직학적 특성과 분비되는 호르몬의 기능에 대해서도 개괄적으로 알아본다.
EAB007 신경해부학 I (Neuroanatomy I)
신경전도의 기본적인 기전과 신경전도가 일어나는 신경연접의 미세구조를 알아보며, 신경연접을 형성하는 단백질의 종류와 신경연접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알아본다. 신경전달물질의 종류와 수용체의 중추 신경계에서 분포를 알아보고 화학적 신경해부학을 숙지하여 형태학적 신경해부학을 연계시키고 이들의 이상에 따른 중추 신경계의 질환을 이해하도록 한다.
EAB008 신경해부학 II (Neuroanatomy II)
신경전도의 기본적인 기전과 신경전도가 일어나는 신경연접의 미세구조를 알아보며, 신경연접을 형성하는 단백질의 종류와 신경연접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알아본다. 신경전달물질의 종류와 수용체의 중추 신경계에서 분포를 알아보고 화학적 신경해부학을 숙지하여 형태학적 신경해부학을 연계시키고 이들의 이상에 따른 중추 신경계의 질환을 이해하도록 한다.
EAB009 특수감각기해부학 I (Anatomy of the special sense I)
시각계, 청각 및 평형감각계, 미각계와 후각계의 해부 및 조직학적인 구조를 먼저 알아보고 이들의 신호생성기전을 알아본다. 또한 말초부위의 정보가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는 해부학적인 경로를 숙지하며 특수감각기에 생기는 질환의 임상적 이론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
EAB011 세포생물학 I (Cell Biology I)
세포질 기관과 핵의 미세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고 세포질 기관의 각각의 기능을 강의한다. 핵에서 유전자 정보가 세포질로 전달되는 과정과 단백질이 합성되는 경로를 알아본다. 또한 세포내 소기관과 유전정보해독의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에 대하여도 강의한다.
EAD001 일반생리 I (General Physiology I)
생명현상의 가장 기본이 되는 세포의 세포막의 구조와 이를 통한 물질이동의 특성 및 기전을 이해함으로써 인체의 정상 및 병태 생리를 연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EAD008 근육생리 II (Mcscle Physiology II)
근육 수축기전과 그 흥분-수축 연결과정 및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 등의 각 근육의 전기생리적, 기능적 특성을 이해하여 이에 관련된 질병의 진단, 치료, 연구에 기초가 되도록 한다.
EAD009 심장생리 I (Cardiac Physiology I)
기계적 수축은 전기적 현상에 부수되어서 일어난다. 따라서 심근의 전기생리를 이해하여 심장병의 병태생리 연구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심장수축의 기계적 역할을 이해하여 심장의 기능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EAD022 미토콘드리아 생리 II (Physiology fo Mitochondina II)
인체 생리조절 및 대사에 필수적인 세포 소 기관으로서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및 구조와 기능 단백질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진행하고, 미토콘드리아의 생리적 특이성에 대하여 에너지 생성과 세포사멸 등의 기전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배경, 연구 방법 등을 소개함.
EAD024 미토콘드리아 생체신호전달 기전 II (Signal transduction of Mitochondria II)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조절하는 신호전달 기전을 연구, 구체적으로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각종 이온통로인 ATP 의존성 포타슘 채널, 칼슘 의존성 포타슘 채널, 음이온 채널 및 칼슘 채널 등에 대한 기능과 조절 기전을 설명함.
EAD108 심혈관 컴퓨터 모델링II (Cardiovascular computer modeling II)
융합기술의 핵심이자 기반 요소인 심혈관 모델링에 대한 기초 배양을 목표로 함
EAF041 맞춤치료 생체지표 연구방법론 I (Practice of biomarker research for personalized therapy I)
본 강좌는 맞춤치료 생체지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설계 및 계획서 작성, 수행, 자료 분석, 논문 작성, 연구 윤리에 이르기 까지 연구방법론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연구 수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각 주제의분야별 전문가의 강의를 통해 생체지표 연구 수행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마련해주고, 본인이 진행예정이거나 또는 작성예정인 논문을 활용하여 발표, 토론, 평가를 통해 개별 학생들의 실제 연구 수행능력을 고취시키는데 초점을 둔다.
EAF043 약물유전체 연구 최신 지견: 고찰과 토론 I (Seminar on Pharmacogenomics Research I)
약물유전체학은 맞춤약물치료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학문이다. 본 강좌는 약물유전체연구 분야의 최신 연구 논문으로 발표와 토론을 하는 수업으로 학생들에게 약물유전체연구 및 맞춤의학의 최신연구동향을 파악하게 하고, 관련 연구 분야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궁극적으로 창의적인 연구기법을 스스로 익히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재는 지도교수가 추천하는 최신논문을 사용하며 발표, 토론, 진행 모두 영어로 하고 지정토론자를 추가하여 토론을 강화한다.
EAG009 면역학 최신토픽 I (Current Topics in lmmunology I)
 현대의학과 생물학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펩티드를 면역학적인 관점에서 조명해 보고, 이를 이용한 실험기법의 종류와 적용 사례 및 새로운 실험 방법의 개발 등에 관해 학습한다.
EAG104 종양면역학 II (Tumor immunology II)
매우 다양한 종류의 암에 대해 신체의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에 관여하는 세포, 조직 및 체액성분 들이 수행하는 방어기전을 학습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항암면역기전을 학습한 토대위해 암들이 면역시스템의 방어기전을 교묘히 벗어나는 암의 면역회피기전을 다루게 됨으로 암의 면역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고려해야 할 이론적 배경 등을 갖추게 된다.
EAG110 고급분자면역학Ⅱ (Advanced Molecular ImmunologyⅡ)
분자생물학과 면역학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응용한 면역세포와 면역분자와 관련된 최근 면역학 분야의 토픽에 대한 원리와 의의를 탐구한다. 따라서 강의 내용과 관련된 주요 연구논문에 대한 토론과 더불어 특정 주제에 대한 발표 등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요구되며 이를 통해 연구 주제에 대한 논리적 사고와 이해를 함양하고자 한다.
EAG111 기본 면역학Ⅰ (Basic immunologyⅠ)
EAG112 최신면역학Ⅱ (Current ImmunologyⅡ)
EAM016 교육과정개발 (Curriculum Development)
의과대학 교수자로서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도록 이론을 소개하고 예시를 제시하는 수업으로 여름방학 세미나 때 이루어질 교육과정개발 project 수업을 위한 교과목. 기초과목의 교수자로 양성할 모잠비크 교원양성에 특화된 과목으로 교실수업과 실습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과정개발을 할 수 있도록 능력을 배양할 예정.
EAM022 교육평가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적절한 교육평가 방식을 학습한다.
EBA002 대장암의 최신지견 (Recent advances in colon cancer)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라 대장암의 발병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대장암의 특성을 알아보고, 발병기전 및 임상소견을 종합하여, 진단과 치료에 대하여 검토한다.
EBA004 간질환의 병태생리 Ⅱ (Pathophysiology of liver Disease Ⅱ)
간의 병태생리를 이해, 숙지하여 간질환의 진단 및 치료의 연구개선을 도모하며, 임상적인 치료 접근방법을 알아본다.
EBA006 췌장질환특론 Ⅱ (Pancreatic Diseases Ⅱ)
췌장질환의 발생원인과 병리, 만성화 과정을 알아보고 악화시키는 인자와 수복과정에 대해 연구한다.
EBA007 소화기학최신지견 (Recent advances in gastroenterohepatology)
소화기학의 최신 지견에 대한 이해와 이의 임상에서의 응용에 대하여 알아본다.
EBA010 소장질환의 최신지견 (Recent advances in small bowel diseases)
소화작용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소장의 기능을 이해하고, 여러 형태의 소장질환의 병태생리를 알아보고, 이들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본다.
EBA012 최신간염바이러스학 I (Recent advances in hepatitis virology I)
바이러스성 간염의 종류와 그에 따른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 각 원인에 따른 병태생리를 알아본다. 이러한 병태생리에 기초하여 각 간질환의 치료와 예후의 차이를 알아본다.
EBA016 소화기학 I (Gasroenterology I)
위 장관, 간, 췌담도의 질환들을 외래 및 병동에서 환자를 통해 임상 양상과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면서 각 질환의 이해를 한다.
EBA026 소화성궤양의 진단 및 치료 II (Diagnosis & Treatment of gastric ulcer II)
소화성궤양은 지속적인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그 발병률과 유병율이 계속 높은 질환이며 합병증에 의한 사망룰도 줄어들지 않고 있다. 또한 위점막에서 관찰되는 굴곡된 나선형 세균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은 위염과 소화성 궤양, 위암까지 각종 소화기 질환의 원인이 된다. 소화성 궤양의 역학, 원인, 병태생리학, 진단, 치료, 예방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자 한다.
EBA707 폐쇄성기도질환-최신지견 I (Update of obstructive lung disease I)
EBA715 신장이식Ⅰ (renal transplantationⅠ)
최근 당뇨나 고혈압 등으로 인한 만성콩팦병의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신기능 감소로 인하여 신대체요법이 필요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신대체요법 중 가장 삶의 질 평가에서 우월하다고 보고 되고 있는 신장이식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
EBA729 간질성폐질환의 진단과 치료Ⅰ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terstitial lung disease Ⅰ)
200개 이상의 다양한 질병이 포함된 간질성폐질환의 진단적 접근 및 질환군별, 개별질환별 치료방법에 대해서 학습하는 과정임.
EBB002 근전도학 Ⅱ (Electromyography Ⅱ)
하운동원성질환에 필수적인 근전도의 기본원리와 하운동원성질환때 보이는 침근전도와 신경전도속도검사의 이상에 대하여 알아본다.
EBB017 근육학 Ⅰ (Myology Ⅰ)
근육의 약화를 유발하는 다양한 근육질환의 임상양상, 병리소견의 차이와 치료가능한 질환에 대하여 알아본다.
EBB018 근육학 Ⅱ (Myology Ⅱ)
근육의 약화를 유발하는 다양한 근육질환의 임상양상, 병리소견의 차이와 치료가능한 질환에 대하여 알아본다.
EBE002 피부생물학 Ⅱ (Biology of Skin Ⅱ)
표피, 표피부속기, 진피의 세포, 결체조직, 혈관, 신경등의 조직학적 구조, 기능, 생리에 대해서 알아본다.
EBE004 피부종양학 Ⅱ (Dermatologic Oncology Ⅱ)
편평 세포암, 기저 세포암, 표피 부속기암, 흑색종 같은 피부암의 발생기전, 진단, 치료에 관해 알아본다.
EBE022 피부병리학Ⅱ (DermatopathologyⅡ)
ECA028 외과초음파학 (Surgical Ultrasound)
초음파 검사는 환자에 장해가 없고, 전 처치가 필요 없으며, 정확도가 높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외과의사의 활동 영역과 역량을 넓히기 위해서 초음파의 원리와 외과적 적용을 이해한다.
ECB013 부인종양학 Ⅰ (Gynecologic Oncology Ⅰ)
부인암 수술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항암제의 작용기전, 방사선의 역할, 종양 면역학 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부인암 치료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연구한다.
ECB025 부인과외래진료 Ⅰ (Ambulatory Gynecology Ⅰ)
외래에서 치료할 수 있는 경미한 질환을 이해하고 또 입원전에 외래에서 진단 처치할 수 있는 수기의 습득을 교수한다.
ECC020 척추신경외과학 Ⅱ (Neurosurgery for Spinal Lesions Ⅱ)
척추의 해부학적 구조, 신경생리학, 운동역학을 우선적으로 강의하고 각종 양성 및 악성 척추계질환의 병리, 진단, 증상, 증후의 특징적 소견과 수술적 치료에 대하여 교수한다.
ECC023 신경외상학 I (Neur Otramatology I)
두부외상의 특징적 생체기전, 신경계 외상의 진단적 접근, 두부 및 척추외상의 응급 처치 방법, 신경계 외상의 합병증, 외상환자의 수술적 치료 등을 교수하여 신경계 외상 환자를 평가하고 적절히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ECC024 신경외상학 II (Neur Otramatology II)
두부외상의 특징적 생체기전, 신경계 외상의 진단적 접근, 두부 및 척추외상의 응급 처치 방법, 신경계 외상의 합병증, 외상환자의 수술적 치료 등을 교수하여 신경계 외상 환자를 평가하고 적절히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ECC025 두개저및 극소침습적 신경외과학 I (Skull Base Surgery and Minimal Invasive I)
두개저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우선적으로 숙지시키고, 수술의 난이도가 높은 해면동(cavemous sinus) 부위, 사대(clivus) 부위, 소뇌교각(cere- bellopontine angle) 부위, 제3뇌실부위 등에 대한 외과적접근 방법 및 그 적응증 등에 대하여 교수한다. Minmumally invasive neurosurgeryd의 개념을 숙지시키고, key hole surgery, 내시경을 이용한 신경외과 수술(endoscopic neurosurgery), 정위적 신경외과수술(stereotactic neurosurgery), 특히 frameless surgery, surgical robotics와 spinal stereotaxis에 대하여 소개하고, stereotactic radiosurgery, 관류내 치료(endovascular therapy), 극소침습적 척추수술에 대하여 교수한다.
ECC028 말초신경손상학Ⅱ (periphieral nerve injury Ⅱ)
말초 신경은 여러 손상이 발생할수 있으며 분류방법으로는 seddon의 분류방법이 많이 쓰이고 다른 분류법으로는 sunderland의 분류법과 수술중 분류법( intraoperative grading)이 있다. 말초신경손상에는 신경무동작,축삭절단,신경절단으로 분류되며 개방성손상과 폐쇄성 손상으로 손상기전이 나뉠수 있다. 손상의병태생리에 따라 다양한 재생이 일어나나 손상된 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에도 근육위축 근막의 비후등이 발생하며 만일 신경재지배가 1년이상 지연되면 기능회복이 불량하고 2년이상 지면되면 근육세포의 비가역성 변화 때문에 회복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지각 종말기관은 근육과는 달리 탈신경에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말초신경에 대한 증상,이학적검사 전기생리적 검사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공부하며 말초 신경 손상에대한 수술적인적응, 수술의 시기, 수술의 종류에 대해서도 충분히 습득하여, 이러한 질환에 대한 임상적인 적용에 있어서 상당한 도움이 되어, 향후 환자의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판단된다.
ECD002 정형외과감염학 Ⅱ (Orthopedic infection Ⅱ)
근골격계 감염의 병태, 생리를 연구하고 그 발생기전, 자연경과 및 치료지침 등을 이해하며 이를 이용한 기초연구의 자료를 수집한다.
ECD004 골관절외상학 Ⅱ (Musculoskeletal Traumatology Ⅱ)
골관절 골절 탈구의 최신지견에 대해 연구하며, 특히 응급외상의 치료 및 합병증 예방의 개선된 방향을 모색한다.
ECD008 골종양학 Ⅱ (Bone Tumor Ⅱ)
정형외과 영역에서 자주 접하는 양성, 악성 및 전이성 종양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의 최근의 경향과 통합치료의 방향을 연구한다.
ECD010 소아정형외과학 Ⅱ (Pediatric Orthopedics Ⅱ)
정형외과 영역의 호발 소아 질환의 특성에 대한 최신지견 및 치료를 연구한다.
ECD012 관절염 Ⅱ (Arthritis Ⅱ)
류마토이드 관절염 및 퇴행성 관절염 등의 각종 관절염의 분류와 진단, 각 질환별의 수술적 치료에 대해 최신지견을 연구한다.
ECD018 슬관절외과학 Ⅱ (Surgery of the Knee Ⅱ)
슬관절에 호발하는 질환과 인대손상 등 호발 외상의 발생 기전과 치료, 그리고 관절경수술 및 슬관절 인공치환술에 대해 연구한다.
ECD029 골절치료의 기본원칙Ⅱ (Principle of Fracture ManagementⅡ)
골절 및 외상치료에 있어서 AO principle을 기본으로 한 새로운 치료법 및 basic science
ECD033 노인 정형외과학Ⅰ (Geriatric OrthopedicsⅠ)
ECG006 안유전학 Ⅱ (Genetics of ophthalmology Ⅱ)
안과 유전 질환의 유전방식을 이해하고 유전상담 및 산전 진단에 대해 교수한다.
ECG007 안생리학 Ⅰ (Physiology of ophthalmology Ⅰ)
각막, 수정체, 망막과 안 부속기가 정상 기능을 하는 생리 기전을 이해하며, 아직 알려지지 않은 분야에 대한 연구의 발판을 갖도록 교수한다.
ECG019 안수술학 Ⅰ (Ocular surgery Ⅰ)
안과학 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수술방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수기를 익히도록 교수한다.
ECG102 안과 동물 모델 개발Ⅱ (Development of Ophthalmological Animal modelⅡ)
외안부의 전반적인 해부학, 생리, 병리반응을 학습하고, 나아가 안구 및 눈 주위에서 발생하는 주요 질환의 동물 모델을 개발한다. 또한, 각 질환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새로운 진단방법 및 치료를 개발한다.
ECG104 갑상선안병증 동물 모델 개발Ⅱ (Development of Graves’ Ophthalmopathy Animal modelⅡ)
갑상선의 전반적인 해부학, 생리, 병리반응을 학습하고, 나아가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 따른 자가면역질환인 갑상선안병증에 대해서 학습한다. 또한, 갑상선안병증의 병리기전을 이해하고 갑상선안병증의 동물 모델을 구축하여 치료기전 연구를 한다.
ECG107 기초안과학Ⅰ (Basic OphthalmologyⅠ)
본 강의는 안과 전 분야에 걸친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외안부질환, 각막, 공막, 수정체, 포도막, 망막, 녹내장, 굴절 이상, 사시, 시신경, 신경안과, 전신질환과 눈, 외상 등의 기초안과학 내용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ECJ001 구강악안면외상학 Ⅰ (Oral & Maxillofacial Traumatology Ⅰ)
치아 및 치조골외상, 구순 및 구강점막의 오히상, 하악 및 상악골절의 진단과 치료, 복합외상의 효과적 치료, 악골절의 응급처치, 악골절의 합병증, 구강 및 안면부 신경손상, 다발성 악안면 손상의 응급처치와 일관적인 치료에 대하여 학습한다.
ECJ007 구강 및 악안면 감염론 Ⅰ (Oral and Maxillofacial infection Ⅰ)
치성감염, 급성 화농성 감염, 치주염, 치관주위염, 만성 치조골염, 악골골수염, 혐기성 감염, 방선균증, 방사선골괴사, 비치성 특수감염의 진단과 치료에 대하여 학습한다.
EDB001 방사선물리학 Ⅰ (Radiation Physics Ⅰ)
방사선의 물체 내에서의 물리화학적 반응기전을 이해하도록 하고 방사선발생장치, 계측방법, 임상치료계획과 같은 기본개념을 교수한다.
EDB003 방사선생물학 Ⅰ (Radiation Biology Ⅰ)
방사선의 생체 내에서의 반응과정을 세포, 아세포차원에서 설명하고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이를 이용한 방사선치료방법들을 이해하도록 한다.
EDB014 정위방사선치료 Ⅱ (Stereotactic Radiotherapy Ⅱ)
정위방사선치료의 물리학적 및 생물학적 배경과 기술적 측면을 이해하고 임상적용대상, 결과와 수반되는 문제점에 대해 논한다.
EDC018 흡입마취의 기본원리 Ⅱ (Fundamentals of inhalation anesthesia Ⅱ)
흡입마취의 유도와 유지 그리고 각성은 환자의 환기와 혈액순환, 약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마취 시 이러한 흡입마취의 원리를 이해하고 마취 관리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EDC020 신경근전달감시 Ⅱ (Neuromuscular monitoring Ⅱ)
마취를 시행함에 있어 적절한 근육이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환자의 회복시 근육이완의 회복이 완전한가를 평가해야 하며 여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고 각각의 방법에 따라 장점과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근이완의 감시의 원리를 이해하고 환자의 근이완을 감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EDD113 바이러스감염 진단학Ⅰ (Laboratory Diagnosis of Viral InfectionⅠ)
임상에서 흔히 분리되는 바이러스의 분류, 검체의 채취, 각종 시약 배지 및 배양방법을 습득하고, 주요 바이러스들의 특성을 이해한다. 바이러스의 검출 및 진단을 위한 다양한 검사방법을 이해한다.
EDD117 감염질환의 분자역학Ⅰ (Molecular Epidemiology of Infectious Diseases Ⅰ)
감염환자의 역학적 연관성에 대해 이해하며, 분자역학연관성 규명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학습한다. 실제 임상에서 사용가능한 방법 및 특성에 대해서 이해한다.
EDH009 응급소화기계 Ⅰ (Gastrointestinal Emergency Ⅰ)
소화기 응급 질환의 증상을 열거하고 응급실에서의 소화기 계통의 응급 환자의 진단 및 응급처치를 이해한다.
EDH019 응급대사성질환 Ⅰ (Endocrine Emergency Ⅰ)
생체에서 내분비 기관이 담당하는 생물학적 조절기능에 대한 총괄적 개념을 이해하고 개개 호르몬의 생성 및 분비과정, 호르몬의 작용기전, 그리고 호르몬과 대사 및 생물학적 현상과의 체계를 숙지하고 내분비 및 대사 질환으로 인한 응급처치 및 진단방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EDJ013 인체 구조와 기능Ⅰ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Ⅰ)
의학의 기본적인 지식인 인체의 정상적 구조와 기능을 학습하여, 각 기관별 육안 구조 및 생리학적 기능과 현상들을 이해함으로써 이를 통해 구조와 기능이 서로 연계된 인체 기능의 총괄적 원리를 이해한다.
EDJ014 인체 구조와 기능Ⅱ (Human Anatomy and PhysiologyⅡ)
의학의 기본적인 지식인 인체의 정상적 구조와 기능을 학습하여, 각 기관별 육안 구조 및 생리학적 기능과 현상들을 이해함으로써 이를 통해 구조와 기능이 서로 연계된 인체 기능의 총괄적 원리를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