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B186
보건행정학의 이해
(Introduction to Health Administration)
-
보건행정학의 이해는 1학년을 위한 기초전공과목으로서, 향후 4년간에 걸쳐 배우게 될 보건행정분야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포괄적으로 소개하는 과목이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이 보건행정 전반에 걸쳐 중요한 이론을 습득하도록 하는 한편, 보건의료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응용능력을 키우는데 주안점을 두고 강의를 진행한다
-
ALB192
공중보건학
(Public Health)
-
공중보건학 개념의 발달사 등 기초이론 및 전염병관리이론을 학습하며, 아울러 공중보건사업의 중요성과 보건요원의 역할을 학습한다.
-
ABE097
병원통계
(Hospital Statistics)
-
통계학의 기초적 이론과 병원분야에서의 응용적 지식을 습득시킴으로써 관련기관에서 업무를 수행할때 보건통계의 기본적 아이디어와 내용을 활용할 수 있게 하며 나아가서 보건의료분야의 조사연구업무를 담당할 경우에 필요한 기초적 소양을 갖추게 함.
-
ALB011
병원관리론
(Hospital Economics)
-
본 교과목은 병원 관리 원칙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을 통해 학생들에게 의료 기관의 관리 환경 분석과 전략적 관리 계획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함양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건강 경제 원칙에 따라 자원 관리, 운영 효율성 및 의사 결정 프로세스를 포함한 병원 운영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학습한다
-
ALB045
역학
(Epidemiology)
-
역학은 보건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본적 정보를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론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
ALB129
보건교육증진과 영어
(Health Education Promotion and English)
-
건강유지와 건강수준 향상의 효율적 대안인 건강교육증진 개념 및 접근방식을 이해하며, 학문 내용의 영어 이해를 달성한다.
-
ALB187
보건행정학원론
(Health Administration)
-
보건행정학원론은 전공과정에 본격적으로 진입한 이후 보건행정분야에서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소개하고, 향후 보건행정전문가가 되는데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이론을 강의한다.
-
ABE078
보건의료데이터베이스
(Health Care Database)
-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및 DBMS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와 더불어 데이터베이스 응용프로그램인
MS ACCESS사용법을 숙지하여 실제 보건관련 기관들에서 사용되는 보건데이터를 이용하고
분석함으로써 환자정보관리시스템과 병원의 의료DB 기법을 이해하도록 한다.
-
ALB138
보건행정기초사회과학
(Basic Social Science of health Administraion)
-
보건행정에 관한 사회과학적 분석과 보건의료에 대한 체계적 지식교육과 의료제도와 정책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위해 필요한 과목이다.
-
ALB178
건강보험
(Health Insurance)
-
우리나라의 의료보장제도 중에서 가장 핵심제도인 국민건강보험제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한다.
먼저 의료보장제도의 전반적인 개념과 종류를 살펴본 후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주요 하부구성요소를 심층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국민건강보험제도의 관리운영체계, 재원조달체계, 보험급여체계, 진료비지불체계 및 보험수가체계 등의 현황과 문제점을 이해하고, 더 나은 발전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주안점을 둔다.
-
ALB189
의료조직인사관리
(Healthcare Organization Management)
-
의료조직인사관리는 의료기관의 목표 달성을 위해 인적 자원을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분야로, 채용, 교육, 성과 평가, 보상 관리를 포함한다. 의료 조직의 특성을 반영하여 직원 간 협업과 동기 부여를 촉진하며, 이를 통해 의료 서비스의 질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
ABE031
원무시스템행정론
(Hospital Affairs Administration)
-
국가의 보건의료제도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병원조직의 원무시스템 분야를 중심으로 최신이론을 강의하여 병원시스템 행정관리 전반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한편, 실무지식의 습득을 병행함으로써 병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고시키는데 주안점을 둔다.
-
ABE054
질병및수술분류
(Classification of Disease and Operation)
-
분류란 일정한 체계하에서 비슷한 종류끼리 무리를 짓는 것을 말한다.질병을 체계적으로 분류한다 함은 각각의 질병들을 어떤체계하에 무리지어진 일정한 수의 무리 중 어느 하나로 배정하는 것을 말한다.
-
ABE098
적정진료보장
(Quality Assurance )
-
양질의 의료의 개념과 방법론을 익힌다. 특히 최근에 각광 받는 JCI를 이용한 의료의 질향상 방
법론을 익힌다.
-
ALB059
의학용어
(Medical Terminology)
-
의무기록 국시의 필수교과목인 본 강의에서는 보건 의료 분야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접두어, 접미어를 통한 체계적인 용어 습특을 통해 학생들은 보건 의료인으로서 전문성을 갖게 된다.
-
ALB190
보건의료마케팅
(Healthcare Marketing)
-
보건의료마케팅은 의료 서비스 및 제품의 효과적인 제공과 소비자 만족을 목표로 하는 전략적 활동이다. 소비자 중심의 접근을 통해 의료 서비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타겟팅, 브랜딩, 프로모션 등을 설계하여 의료기관의 가치를 높인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고,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조직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는 것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
ABE095
의무기록실무
(Medical Record Practice )
-
의무기록실무는 의료기관에서 의무기록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제반업무를 정확히
처리할 수 있는 기초적 능력을 키우기 위한 학습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의무기록(챠트)을 보고 질병,수술분류를 하는 것이라는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서
review하여 분석하고 주요 데이터를 수집하여 진료정보를 생성하는 전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실제 업무와 근접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ALB140
의료경영세미나
(Seminar in Healthcare Management)
-
의료경영의 핵심적인 대상인 의료기관을 둘러싼 정책과 환경변화를 조망하고, 의료경영의 주요 이론 및 기법 등을 사례 중심으로 학습함으로써 의료기관에 취업 시 활용할 수 있는 의료경영 전반에 걸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하는데 주안점을 둔 전공과목이다.
-
ALB185
병원경영전략
(Hospital Management Strategy)
-
국내외 의료 무한경쟁 시대에 접어들면서 병원경영의 기본적 지식을 토대로 하여 실질적으로 경쟁력 있는 병원을 경영하기 위해 경쟁 우위의 전략적 측면을 이해하고 공부할 수 있는 수업입니다.
-
ALB188
보건기획론
(Health Planning)
-
보건기획론은 먼저 일반적인 기획이론과 방법론을 강의한 후에 보건의료분야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주요 보건기획 이론과 방법론을 습득시킨다. 이를 통해 보건의료현장에서 기획이론을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문능력을 함양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
ALB191
보건의료산업
(Healthcare Industry)
-
보건의료산업은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 치료 및 관리에 필요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분야이다. 제약, 의료기기, 병원 및 건강관리 서비스 등 다양한 하위 분야로 구성되며, 기술 혁신과 정책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국민 건강과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지속적인 성장에 대해서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
AUR001
직무결정과 경력개발
(Job Decision-making and Career Development)
-
본 교과목은 진로정보의 종합 및 대안 평가를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직무를 결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자기표현 기술을 증진함으로써 재학 중 실제적인 경력개발 활동을 실행해볼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위해 수업은 총 두 개의 모듈로서 진행되는데 ‘직무결정’ 모듈에서는 전공기반 산업동향 이해 및 직무·기업 분석과 역량지원서 이해 등을 학습하고 ‘경력개발’ 모듈에서는 경력개발 및 역량증진 활동을 수행하며 역량면접 등에 대해 학습한다.
-
ABE026
병원행정실습
(Practice in Hospital Management)
-
학생들이 병원 현장 경험을 습득하도록 하기 위해 하계방학 동안에 병원에서 2주간 병원업무와 의무기록에 관한 실습을 받는 교과목으로 하계방학때 병원실습을 한 학생에게만 수강신청이 가능한 과목임.
-
ABE092
암등록
(Cancer Register)
-
의무기록관리의 기본이론과 암등록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과목임.
-
ABE096
의료관계법규
(Health and Medical Laws)
-
보건의료와 관련된 주요 법규의 학습을 통하여 보건의료분야의 기본체계와 제도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보건의료의 이론과 정책이 실제 법규에 어떻게 반영되고 적용되는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지식을 쌓게 하며, 이를 토대로 관련 국가고시에 적절히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
ABE099
의무기록전사
(Medical Record Transcription)
-
의무기록전사란 "Medical transcription"이라고 쓴다. 전사란 "옮기어 베낌"이라고 국어사전에
정의 되어있다. 즉, 어떤 정보를 문서화하는 것이다.
한편, 구술자 옆에서 불러주는 내용이나, 녹음된 내용을 들으면서 문서를 작성하는 사람을 전
사자(trasncriptionist)라 한다. 의료계에서 전사제도가 보편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나라도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몇몇 벼원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의료관련서식 전사자(medical
transcriptionist)가 우리의료계에서 점차 각광 받고 있다.
-
ALB193
과학적 병원관리기법
(Scientific Methods in Hospital Management)
-
과학적 병원관리기법은 병원의 운영 효율성과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과학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관리 기법이다. 주요 내용은 운영관리, 인적 자원 관리, 병원 프로세스 개선, 품질 관리(SPC), 및 자원 최적화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병원 내 자원 활용을 극대화하고 환자 만족도를 높이며, 의료기관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내용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
ALB139
의료조직과 사회
(Healthcare Organization and Society)
-
건강유지와 건강수준 향상의 효율적 대안인 건강교육증진 개념 및 접근 방식을 이해하며, 학문 내용의 영어이해를 달성한다.
-
ALB141
환경보건과 행정법
(Environmental health and Administration Law)
-
인간이 상호작용하며 살아가는 환경에 대한 이해와 인간의 개입에 의한 환경보건문제 및 관련법에 대한 학습을 통해 그 관계 방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향상을 도모한다.
-
ALB147
의무기록실무Ⅱ
(Medical Record PracticeⅡ)
-
의무기록실무는 의료기관에서 의무기록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제반업무를 정확히 처리할 수 있는 기초적 능력을 키우기 위한 학습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의무기록(챠트)을 보고 질병, 수술분류를 하는 것이라는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서 review하여 분석하고 주요 데이터를 수집하여 진료정보를 생성하는 전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실제 업무와 근접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ABE068
의무기록실습
(Practice in Medical Recor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