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비주얼

자료실

셀트리온,바이오시밀러 램시마,4조 美시장 두드린다

  • 조회수 1047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작성일 2014.06.04

미 FDA 허가 임상 성공적 종료, 미국 진출 허가절차 본격 착수

이권구 기자 | kwon9@yakup.com      기자가 쓴 다른기사 보기
기사보기 댓글보기 (0)      

기사입력 2014-06-02 11:04    최종수정 2014-06-02 11:08            
셀트리온은 2일 자사의 첫 바이오시밀러제품 ''램시마''의 미국 허가절차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최근 종료된 미국 허가를 위해 진행한 임상결과와 기존에 진행한 글로벌 1,3상 임상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내 판매를 위한 허가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허가서류를 제출하면 관련절차에 따라 최종허가까지는 1년가량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허가절차는 세계 최초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가 전세계 허가를 위한 마지막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으로,  램시마는 한국을 시작으로 유럽 캐나다 등 선진국시장에서 판매되고 있고, 일본에서도 판매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미국 FDA와 사전 협의를 통해 생물학적동등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을 2013년 10월 시작해 지난 4월에 종료했으며 최근 최종 결과분석보고서를 받았다. 미국 허가를 위한 임상은 건강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미국에서 판매되는 오리지널약과 유럽에서 판매되는 오리지널약, 그리고 램시마 간 생물학적등등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셀트리온은 오리지날 제품과 관련한 각종 특허가 2015년 이전에 대부분 만료되며, 남아 있는 일부 특허는 특허 무효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미 오리지널제품 개발사인 얀센바이오텍(舊센토코)이 보유한 특허에 대해서는 법률적 검토를 마쳤으며, 특허무효화를 위한 특허소송 또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램시마의 오리지널 제품은 미국에서 지난해 약 4조원가량 판매됐으며 이는 전세계 판매액의 절반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지난 2009년 IMS 헬스데이터가 공개한 각 나라별 제네릭 의약품 처방 비중에 따르면 미국은 89%로 제네릭 의약품 처방 비중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진출이 빨라지면 제품의 매출성장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램시마가 미국에서 허가받을 경우 유럽에 이어 미국에서도 최초의 항체바이오시밀러로 기록되게 될 것”이라며 “최초 허가라는 상징적인 기록은 상업적인 성공에 대한 기대 못지않게 회사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라 말했다.


출처 :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pmode=&cat=&cat2=&nid=174862&num_start=0&csearch_word=%EC%85%80%ED%8A%B8%EB%A6%AC%EC%98%A8%EB%B0%94%EC%9D%B4%EC%98%A4%EC%8B%9C%EB%B0%80%EB%9F%AC%20%EB%9E%A8%EC%8B%9C%EB%A7%884%EC%A1%B0%20%E7%BE%8E%EC%8B%9C%EC%9E%A5%20%EB%91%90%EB%93%9C%EB%A6%B0%EB%8B%A4&csearch_type=&cs_sc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