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비주얼

자료실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 13조 넘고 무역수지 흑자도 3조 돌파

  • 조회수 648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작성일 2017.06.29

수출지역 대변화·기능성 화장품 시장 지속 성장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을 13조를 넘고 무역수지 흑자도 3조원을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6년 우리나라 화장품 생산실적이 13조 514억원으로 2015년의 10조 7,328억원 대비 21.6% 증가했다고  27일 밝혔다.

또 무역수지 흑자는 3조 1,339억원으로 2015년 1조 6,973억원 대비 85%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급속한 성장은 국내 화장품이 가격대비 우수한 품질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동시에 화장품 원료에 대해 ''네거티브리스트'' 제도를 도입하는 등 꾸준히 제도를 정비한 것이 결실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네거티브 리스트(negative list)는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를 고시하고 그 밖의 원료는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식약처는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으로 △생산실적 고속 성장세 유지 △무역 흑자 3조 돌파 △화장품 수출지역 다변화 △기능성 화장품 산업 꾸준한 성장세 등을 꼽았다.

◆생산 실적 고속 성장세 유지 - 2015년 화장품 생산실적이 사상처음 10조원을 넘어선데 이어 지난해 생산실적은 13조 514억원으로 21.6% 증가했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이 7조 5,858억원(58.12%)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로 색조 화장용(2조 2,919억원, 17.56%), 두발용(1조 4,098억원, 10.8%), 인체 세정용(1조 1,637억원, 8.92%) 등의 순이었다.

업체별로는 ‘(주)아모레퍼시픽’이 4조 3,899억원(33.64%)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주)엘지생활건강’이 3조 5,825억원(27.45%), ‘애경산업(주)’ 2,528억원(1.94%), ‘(주)이니스프리’ 1,961억원(1.50%), ‘(주)더페이스샵’이 1,692억원(1.30%) 등의 순이었다.

품질이 우수한 마스크팩, 쿠션 등 제품의 수출호조에 힘입어 ㈜코스토리, 카버코리아, 더샘인터내셔널, 클리오 등이 생산실적 상위 20위내 업체로 신규 진입한 것으로 분석됐다.

◆무역 흑자 3조 돌파 - 화장품 무역수지는 2012년 처음 흑자로 돌아선 후 2014년 7억 5,250만달러(8,514억원), 2015년 15억 10만달러(1조 6,973억원) 2016년 27억 44만달러(3조 1,339억원)로 고속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41억 7,842만달러(4조 8,491억원)로 2015년(25억 8,780만달러, 2조 9,281억원) 대비 65.60%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평균성장률도 39.76%에 달하고 있다.

반면, 화장품 수입은 2015년 10억 8,770만달러(1조 2,307억원)대비 2016년 10억 8,020만달러(1조 2,536억원)로 소폭 감소했다.

◆화장품 수출 다변화 -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출한 국가는 중국으로 15억 6,971만 달러(1조 8,216억원)였으며, 홍콩(12억 4,409만달러, 1조 4,438억원), 미국(3억 4,697만달러, 4,027억원), 일본(1억 8,267만달러, 2,12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 국가의 비중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화장품 본고장인 프랑스(138.4%), 이탈리아(246.6%), 스페인(276%) 등으로 수출지역이 다양화 되고 있다. 특히 스페인, 이탈리아가 수출 상위 20위내 국가로 새롭게 진입했다.

또 지난해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등 선진국에 수출된 실적은 6억 4,696만달러로 2015년의 3억 6,578만달러 대비 약 76.8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프랑스로 2억 9,381만달러(3,409억 7천만원)였으며, 미국 2억 9,346만달러(3,405억 6천만원), 일본 1억 7,056만달러(1,979억 4천만원), 이탈리아 4,751만달러(551억 4천만원), 영국 4,618만달러(535억 9천만원) 등의 순이었다.

◆기능성 화장품 꾸준한 성장세 - 지난해 기능성 화장품 생산 실적은 4조 4,439억원으로 2015년 3조 8,559억원 대비 15.25% 증가했으며, 기능성화장품의 최근 5년간 성장률도 20.06%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연도별 기능성 화장품 생산 실적은 2012년 2조 1,483억원, 2013년 2조 5,638억원, 2014년 2조 9,744억원, 2015년 3조 8,559억원, 2016년 4조 4,43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미백 기능을 가진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은 5,796억원으로 2015년 3,558억원 대비 62.90% 증가했다.

지난 5월부터 ''염모, 제모, 탈모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등 기능성 화장품 범위가 3종에서 10종으로 확대됨에 따라 향후 기능성 화장품 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능성 화장품 범위는 기존 미백·주름·자외선차단 3종에서 염모제, 제모제, 탈염제, 탈모증상완화, 여드름성 피부완화, 아토피성 피부 건조함 개선, 튼살로 인한 붉은선 엷게 하는데 도움이 되는 7종 추가이 추가됐다.

식약처는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이 고속 성장하고 있는 것은 기능성화장품 범위를 확대하는 등 적극적인 규제 개선과 지원 정책이 결실을 맺고 있는 것이다"며 "앞으로도 규제 당국자간 회의를 통해 우리나라 화장품이 원활히 수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안전과는 무관한 절차적 규제는 개선하여 뷰티한류가 전 세계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5&nid=207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