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안내

원자력/방사선 사업과 관련 기업 입장에서의 방사선의 응용 및 방사능 분석 전문인력의 필요성

  • 조회수 1549
  • 작성자 방사선화학과
  • 작성일 2022.08.11

(이 글은 방사능 분석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분들을 대상으로 방사능 분석이 무엇인지? 왜 중요하고 필요한지? 관련 학과(인제대 방사선화학과)를 졸업했을 때의 향후 비전은 어떤지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인제대방사선화학과와 MOU를 체결한 방사능 분석협회의 사무국장 겸 ㈜엘림글로벌 방사선공학연구소의 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김승일입니다.


방사능은 불안정한 핵이 붕괴하면서 내부로부터 전자기파 또는 입자 형태로 방사선을 방출하는데 이 방사선의 세기를 방사능(radioactivity)라고 합니다. 이 방사선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과 의료용 방사선 발생장치(X-ray 등) 및 원자력 발전 등을 통해 인공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방사능 분석은 자연 방사선과 인공 방사선을 포함하여 이런 방사능을 수치화하는 과정입니다.


자연 방사선/방사능은 말 그대로 자연현상이므로 위험성을 논할 수는 없으며, 통상적으로 위험성을 이야기하는 것은 인공 방사선/방사능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성은 관련 분야의 학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개념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이며, 위험하기 때문에 상당한 수준으로 까다롭게 관리되고 있고, 그 관리의 기준과 근거가 되는 것이 “방사능 분석”입니다.


원자력발전소를 예를 들면, 핵분열을 통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전력을 생산하게 되는데 모든 과정에서 방사선과 방사능을 측정하여 관리하며, 거의 모든 경우에서 법적 기준치 이하로 운영되고 있어 실제로도 인간이 살아가면서 맞는 자연 방사선/방사능보다 낮은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위 내용으로부터 무엇을 알 수 있을까요?


원자력 시설의 운영, 방사선/방사능의 위험성, 방사성폐기물의 처리 등 모든 판단의 근거는 방사선/방사능을 수치화하여 나온 결과물입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 “방사능 분석”입니다. 방사성 핵종의 성상과 종류, 농도, 방사선의 종류 등에 따라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장비와 전문인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는 여러분들이 언론에서 접했을 수도 있는 “원자력발전소 해체과정” 중에 특히 중요한 사항이며 원전 해체의 전 과정에서 방사능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해체의 수행 자체가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처럼 중요한 역할 임에도 국내에는 현재까지 방사능 분석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대학이 없는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저희 회사와 같이 방사능 분석을 전문적으로 하고 있는 기업에서도 방사능 분석 전문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또한, 현재 추세로는 향후 수십년 이상 원자력발전소 해체 산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방사능 분석 전문인력의 수요는 급증할 것으로 쉽게 예상할 수 있습니다.


방사능 분석은 4년제 대학 정규 과정 수준의 교육을 받더라도 실무차원에서의 추가적인 교육까지 받아야만 하는 매우 전문적인 분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관련 학과를 졸업하게 된다면 자신만의 전문분야에서 오랫동안 일할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올해 그나마 인제대 방사선화학과가 신설되어 방사선 분야와 방사능 분석 전문가를 배출하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밝히고 있는 점을 관심있게 관찰하고 있습니다.)


관련 교육과정을 이수하게 되면, 방사능 분석 전문기업뿐만 아니라 한국수력원자력(주), 원자력연구원, 원자력안전기술원 등 대기업 또는 국가연구기관으로의 진출도 가능한 분야입니다.


어떤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이전에 어떤 분야를 선택하느냐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방사능 분석 전문가는 차근차근 관련 분야의 지식을 축적하고 준비하는 사람만 이룰 수 있는 매우 희소성이 있는 전문분야입니다.


관련학과를 여러분이 선택한다면 후회없는 선택이 되리라 확신합니다.


2022.08.10.


방사능 분석 협회 사무국장 겸, ㈜엘림글로벌 방사선공학연구소 연구소장/공학박사 김승일